본문 바로가기

컴퓨터/윈도우10

윈도우10 설치 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없이 로컬 계정 설치하는 방법

반응형

윈도우10을 설치하다 보면 어느 순간부터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입력하라는 화면이 기본값처럼 등장하게 됩니다. 이전에는 로컬 계정을 바로 만드는 옵션이 자연스럽게 보였지만, 최근 설치 이미지나 최신 빌드에서는 그 경로가 보이지 않아 당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윈도우10 홈(Home) 버전에서는 인터넷이 연결된 상태로 설치를 진행할 경우 로컬 계정 생성을 선택할 수 없는 구조로 바뀐 경우도 많습니다.

윈도우10 설치 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없이 로컬 계정 설치하는 방법

하지만 윈도우10 역시 여전히 로컬 계정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특정 조건만 갖추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없이 설치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

728x90

인터넷 연결을 끊고 설치를 시작하세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인터넷 연결을 끊은 상태에서 설치를 진행하는 것입니다.

먼저 랜선을 제거하거나, 무선인터넷이 자동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미리 차단해주세요.

  • 데스크탑이라면 랜선을 뽑은 뒤 설치를 시작하세요.
  • 노트북 사용자라면 설치 초기에 Wi-Fi 연결 항목에서 ‘다음’으로 넘어가지 않고 창을 닫거나 ‘네트워크 없이 계속하기’ 옵션을 찾아 선택하면 됩니다.

인터넷 연결이 없는 상태에서는 자동으로 로컬 계정 생성화면이 나타나며, 별도 계정 입력 없이 원하는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설정하면 설치를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이 연결된 상태라면?

간혹 설치 중 실수로 Wi-Fi를 연결했거나, 데스크탑에서 랜선이 연결된 상태였다면 로그인 화면에서 로컬 계정 생성 항목이 아예 보이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땐 설치 진행을 중단하지 말고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계정 만들기' 화면에서 인터넷 연결 끊기

설치 도중 계정을 만들라는 화면에서, 일시적으로 랜선을 제거하거나 노트북이라면 Wi-Fi를 수동으로 꺼주세요.
그 다음 '뒤로' 버튼을 눌러 다시 계정 선택 화면으로 돌아오면 ‘로컬 계정으로 계속하기’ 또는 ‘제한된 설정으로 설치’ 같은 문구가 새로 등장합니다.

명령 프롬프트로 강제 전환

설치 중 Ctrl + Shift + F3 을 눌러 OOBE 모드(감사 모드)로 전환 후 설정을 우회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 방식은 초보자에게 권장되지 않습니다.

반응형

윈도우 Pro 버전이라면 더 간단한 선택지

윈도우10 Pro 버전의 경우에는 설치 도중 '도메인에 연결되지 않은 계정으로 계속' 같은 선택지가 그대로 제공되기도 합니다. 이 경우 굳이 인터넷을 차단하지 않아도 ‘로컬 계정 만들기’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옵션은 빌드나 설치 파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로컬 계정으로 설정하고 싶다면 애초에 인터넷 연결 없이 설치를 시작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윈도우10 역시 로컬 계정을 사용할 수 있는 운영체제인데요 클라우드 기반 동기화나 앱 연동이 필요하지 않다면, 굳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하지 않아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오히려 프라이버시를 중시하거나 테스트용 PC를 자주 포맷하는 사용자라면 로컬 계정이 훨씬 간편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로컬 계정이 사라진 것처럼 보일지라도, 위에서 소개한 방법들을 통해 얼마든지 우회가 가능하니 당황하지 말고 차근차근 설치 과정을 이어가 보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