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컴퓨터

(73)
윈도우7 오피스 크랙 정품인증 후 컴퓨터 느려짐 랜섬웨어 바이러스 의심? 이번에 오랜만에 예전 회사에서 쓰던 윈도우7 노트북을 사용할 일이 생겼어요. 급하게 문서를 하나 편집해야 하는 상황이었는데, 오피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고요. 잠깐 쓰는 거라서 정품 구독보다는 간단히 쓰고 지울 생각으로 ‘Office Installer+’라는 이름의 크랙 툴을 설치해서 오피스를 깔았습니다.윈도우7은 윈도우11처럼 보안이 철저하지 않아서 설치 자체는 별문제 없이 진행됐고, 실행도 잘 되더라고요.그런데 며칠 지나지 않아 컴퓨터가 뭔가 이상하게 느려지기 시작했습니다. 부팅도 느리고, 간단한 파일을 여는 데도 버벅이고, 가끔 브라우저에서 광고창이 뜨기도 했죠. 뭔가 잘못됐다는 생각이 들어 그제야 크랙 프로그램이 찝찝하게 느껴졌습니다.먼저 윈도우 기본 보안 기능으로 전체 검사를 돌렸는데 이상은 ..
윈도우10 알약이나 V3 같은 백신을 꼭 설치해야 할까? 처음 윈도우10을 설치하고 나면 다들 한 번쯤은 이런 고민을 하게 된다. “내 컴퓨터, 따로 백신을 설치하지 않으면 위험한 걸까?”라는 질문이다. 알약, V3, 노턴, 맥아피 같은 보안 프로그램을 떠올리면서 한편으로는 '윈도우에 기본 백신이 있다던데?' 하는 생각도 들기 마련이다.결론부터 말하자면, 일반적인 윈도우10 사용자라면 따로 백신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윈도우10에는 기본적으로 윈도우 디펜더(Microsoft Defender)가 탑재되어 있고, 이 기능이 생각보다 꽤 훌륭하다.AV-TEST.org에서 제공하는 평가 기준에 따르면 윈도우 디펜더는 보호력, 성능, 사용성 측면 모두에서 6점 만점 중 6점을 받은 적도 있다. 이는 유료 백신들과 견주어도 뒤지지 않는 점수다. 무엇보다도, 이 백신은 윈..
윈도우7 디펜더 비활성화 및 강제삭제 비활성화 방법 윈도우7에서 윈도우 디펜더 완전히 끄는 법과 삭제 방법 정리윈도우7은 윈도우10이나 11과 달리 디펜더 기능이 단순하며, 실시간 보호 기능도 제한적입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백신 프로그램과의 충돌이나 불필요한 리소스 점유 문제로 디펜더를 끄고 싶어 하는 사용자들이 많은데요 이에 윈도우7을 기준으로 윈도우 디펜더를 비활성화하거나 삭제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1. 제어판에서 디펜더 끄기제어판 > 관리 도구 > 서비스로 이동 후 목록에서 Windows Defender 선택마우스 오른쪽 클릭 > 속성 > 시작 유형을 사용 안 함으로 설정서비스 상태에서 '중지' 클릭 후 적용이렇게 하면 윈도우가 부팅될 때 디펜더가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습니다.2. 디펜더 프로그램 자체 실행 차단디펜더 프로그램을 수동으로 실행한..
도메인 환경 윈도우 자동로그인 우회 보안키 복구, 키오스크 설정, Intune 정책 해제까지 회사나 기관에서 사용하는 윈도우 PC는 대부분 도메인이나 Azure AD에 연결되어 있어 자동로그인을 설정하는 게 쉽지 않습니다. 매번 로그인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이 번거롭게 느껴지지만, 보안 정책상 쉽게 우회할 수 없는 구조이기도 하죠.이에 윈도우 자동로그인이 제한된 환경에서 선택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정리해봤습니다.보안키 설정과 복구, 키오스크 모드, TPM 인증과 FIDO2 인증 비교, Intune 조건부 액세스 정책 해제 요청 방법까지 체계적으로 다뤄보겠습니다.도메인 환경에서 자동로그인이 제한되는 이유기업용 윈도우 장비는 보안을 위해 자동로그인 및 비밀번호 미설정이 차단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는 데이터 유출과 시스템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netplwiz 명령어나 레지스트리 수정,..
윈도우XP에서 MBR을 GPT로 변환하고 UEFI를 사용할 수 있을까? 오래된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중에서 아직도 윈도우XP를 활용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일부는 오래된 장비에서 특정 장비 제어용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 또는 복구용이나 POS 장비 등에서 여전히 윈도우XP를 운영체제로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하지만 최근 하드웨어에서는 MBR(Master Boot Record) 대신 GPT(GUID Partition Table)가 기본 파티션 방식으로 사용되며, 부팅 방식도 기존 BIOS가 아닌 UEFI(통합 확장 펌웨어 인터페이스)로 바뀌고 있다.이처럼 운영체제는 예전 그대로지만 하드웨어는 점점 새로운 구조로 넘어가는 지금, 윈도우XP 환경에서도 MBR을 GPT로 바꾸고 UEFI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지 궁금할 수 있다.윈도우XP는 GPT와 UEFI를 지원할까?결론부..
윈도우7 MBR을 GPT로 변환하고 UEFI 모드로 사용하는 방법 컴퓨터 성능이 상향되면서 메인보드에서도 BIOS 대신 UEFI가 점점 기본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윈도우7을 사용 중이라면 대부분 레거시 BIOS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고, 디스크 역시 MBR(Master Boot Record) 방식일 가능성이 큽니다. MBR은 구조적으로 2TB 이상의 디스크를 완전히 인식하지 못하고, 파티션 수에도 제한이 있어 최신 장비의 성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깁니다.이럴 땐 GPT(GUID Partition Table) 방식으로 디스크를 변환하고, 메인보드의 BIOS를 UEFI 모드로 설정해 윈도우7 환경에서 최대한 최신 구조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단, 윈도우7은 기본적으로 UEFI와 GPT를 완전히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몇 가지 제한과 조..
메인보드 확인 방법 및 모델명 조회 BIOS 설정 시리얼번호 고장증상 확인 메인보드 모델명 부터 바이오스 시리얼번호 확인방법컴퓨터를 조립하거나 업그레이드할 때 많은 사용자가 CPU, RAM, 그래픽카드 등 주요 성능 부품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시스템 전체를 조율하고 하드웨어 간의 연결을 책임지는 메인보드(Mainboard)는 단순한 연결 기판이 아닌, 컴퓨터 성능과 안정성, 업그레이드 확장성까지 좌우하는 핵심 부품입니다.이번 리뷰에서는 메인보드 확인 방법, 모델명 조회, 바이오스(BIOS) 버전 확인, 메인보드 시리얼번호 조회, 드라이버 설치 및 업데이트 팁, 고장 증상 진단까지 실사용에 도움이 되는 내용을 전문적인 관점에서 상세히 정리해보았습니다.메인보드 확인 방법 – CMD 명령어로 모델명과 제조사 간편 조회가장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메인보드 확인 방법은 윈도..
윈도우7 정품 인증 해제 및 라이선스 만료기간 확인 방법 윈도우7 정품 인증 해제 및 라이선스 만료기간 확인 방법윈도우7은 여전히 구형 PC나 일부 기업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는 운영체제입니다. 정품 인증을 마친 상태라도 PC 변경, 인증 해제, 라이선스 이전 등의 이유로 제품키 관리가 필요할 때가 있는데요. 그럴때 아래 방법들을 참고하여 명령어 기반으로 정품 인증 상태를 확인하고 해제, 변경하는 방법을 익혀보세요.1. 정품 인증 해제 방법제품키 제거slmgr /upk레지스트리에서 제품키 흔적 삭제slmgr /cpky2. 라이선스 상태 및 종류 확인slmgr /dlv이 명령어를 통해 인증 ID, 라이선스 유형, 설치 ID 등을 포함한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3. 인증 만료 여부 확인slmgr /xpr라이선스가 영구인지 혹은 특정 기간에 만료되는지 확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