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네트워크

192.168.0.1 다중 공유기 연결 설정 DHCP 정지 서브넷 마스크 변경

반응형

무선 및 유선 다중 공유기 연결 설정 자원공유를 위한 설정 방법

다중 공유기를 사용할 때, 상위 공유기와 하위 공유기 간의 자원 공유 문제는 여러 네트워크 설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공유기의 WPS 기능을 활용한 무선 확장기 설정과 유선 공유기에서 DHCP 기능을 정지시켜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두 가지 방법을 통해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소개합니다.

무선 AP를 사용한 자원 공유 방법

무선 AP(Access Point)는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WPS 기능을 활성화하면 하위 AP는 자동으로 상위 AP의 DHCP 기능을 사용하게 되며, 하위 AP의 CPU는 작동을 멈추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상위 AP가 모든 DHCP 기능을 관리하고, 하위 AP는 네트워크 자원을 상위 AP에 의존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무선 AP의 특성상 동일한 IP 주소 대역을 사용하게 되며, 하위 AP의 네트워크 자원도 상위 AP와 공유되며 예를 들어, 192.168.0.1을 사용하는 상위 AP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위 AP는 192.168.1.1을 사용하지만, 두 네트워크 간 자원 공유는 가능하게 됩니다.

반응형

유선 AP를 사용한 자원 공유 방법

유선 네트워크에서도 여러 공유기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각각의 공유기는 독립적인 IP 주소 체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IP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하위 AP는 192.168.1.X와 같은 다른 IP 대역을 사용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상위 공유기의 네트워크가 192.168.0.1 대역을 사용할 때, 하위 공유기는 자동으로 192.168.1.1 대역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이 경우, 하위 AP에 연결된 단말들은 상위 네트워크의 자원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192.168.0.12에 연결된 공용 프린터는 192.168.1.X 대역의 단말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사례 1: 하위 공유기의 DHCP 기능 정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하위 AP에서 DHCP 기능을 정지시키는 것입니다.

DHCP 기능을 정지하면, 하위 AP는 상위 네트워크와 자원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이 설정은 대부분의 공유기에서 'DHCP 사용 여부' 옵션을 통해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 안 함'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그 후, 192.168.1.X 대역의 단말은 상위 네트워크 192.168.0.X의 자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DHCP가 비활성화되면 새로운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 수동으로 IP 정보를 입력해야 하며, 무선 AP의 경우 DHCP 기능이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무선 연결이 불가능합니다.

사례 2: 상위 공유기의 서브넷 마스크 변경

상위 공유기의 서브넷 마스크를 조정하여 자원 공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위 공유기(192.168.0.1)의 서브넷 마스크를 255.255.255.0에서 255.255.0.0으로 변경하면, 192.168.X.X 대역의 모든 IP 주소를 수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하면, 192.168.1.X 대역에 연결된 단말들이 192.168.0.X 대역의 자원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유선 AP와 하위 네트워크의 자원 공유를 가능하게 만듭니다.

그러나 이 방법을 적용할 때 주의할 점은, 하위 공유기에서 서브넷 마스크를 255.255.0.0으로 변경하려고 하면 동일한 IP 주소가 이미 존재한다고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하위 네트워크에서 서브넷 마스크를 변경하는 것은 어렵거나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다중 공유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상위 네트워크의 자원을 공유하려면, 상위 공유기의 서브넷 마스크를 적절히 조정하거나 하위 공유기의 DHCP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무선 AP와 유선 AP의 설정은 각각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지만, 이 두 방법은 모두 상위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입니다. 설정 후, 각 단말의 IP 주소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등의 추가 설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